top of page
검색

분노 감정 표현하기

  • 작성자 사진: ROII
    ROII
  • 8월 10일
  • 5분 분량
ree




분노는 인생에서 멈추거나 바꿔야 하는 것이 있음을 알게 해 주는 유용한 신호 감정입니다. 또한, 분노는 자신에게 고통을 덜어 주고, 상대에게 반성의 기회를 줄 수 있습니다.


우리는 어떤 누구든 나를 화나게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이해해야 합니다.

그리고 화를 내지 말고 표현해야 합니다.

분노는 느끼는 대로의 감정, 죄의식, 부끄럼 없이 그대로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래에 분노 감정을 표현하는 일반적 예와 좀 더 효율적인 예를 설명해 보겠습니다.




분노 감정 표현하는 일반적인 예



1. 비난하기


  • 표현

    • 문에 또 더럽게 손자국을 냈구나! 문 손잡이를 사용하라고 몇 번을 말해야 알겠니?

    • 왜 매일 이 모양이니? 넌 도대체 어떻게 된 거니? 좀 잘할 수 없니?

    • 문제는 네가 도대체 엄마 말을 안 듣는다는 거야.

  • 상대가 느끼는 생각과 감정

    • 나보다 문이 더 중요하죠?

    • 내가 안 했다고 거짓말해야지.

    • 겁나네.

    • 난 바보야.

    • 엄마가 난 말을 안 듣는다고 했으니까 그래야지.


2. 욕하기


  • 표현

    • 오늘 날씨가 추운데 그렇게 얇은 옷만 입고 있니? 바보같이! 바보나 그렇게 하는 거야.

    • 얘 먹는 꼴 좀 봐!

    • 이런 돼지우리를 만들어 놓다니 정말 돼지 같다니까.

  • 상대가 느끼는 생각과 감정

    • 엄마가 맞아. 난 바보라서 어려운 수학 문제는 풀 수 없어.

    • 왜 그래야 해?

    • 엄마 생각을 고쳐 줘야지. 다음엔 얇은 옷도 안 입을래.

    • 엄마 싫어!

    • 흥, 엄마는 또 시작이야.


3. 위협


  • 표현

    • 한 번 더 전등을 만지면 때려 줄 거야.

    • 그 껌 당장 뱉지 않으면 다신 껌 안 사줄 거야.

    • 셋 셀 동안 옷을 안 입으면 너 떼어 놓고 갈 거야.

  • 상대가 느끼는 생각과 감정

    • 엄마가 안 볼 때 전등을 만져야지.

    • 울고 싶어.

    • 무서워.

    • 나 좀 내버려 둬요.


4. 명령


  • 표현

    • 당장 방 치워.

    • 이 상자 좀 옮겨 줘. 빨리!

    • 아직도 쓰레기를 버리지 않았니? 당장 버려! 뭘 꾸물대니? 어서 해.

  • 상대가 느끼는 생각과 감정

    • 그렇게 해 봐요.

    • 아이 무서워.

    • 움직이기도 싫어.

    • 아빠가 정말 싫어.

    • 난 뭘 해도 말썽이야.


5. 훈계


  • 표현

    • 읽고 있는 책을 빼앗아 가는 게 잘한 일이라고 생각하니?

    • 이제 보니 예의를 아직 모르는구나!

    • 사람들이 네게 공손히 대하길 원하면 네가 먼저 공손해야지!

    • 누가 네 걸 빼앗아가면 너도 싫지? 그럼 너도 그러지 말아야지!

    • 다른 사람이 우리 말대로 해 주길 바란다면 우리도 남들에게 그들이 바라는 대로 해 주어야 돼!

  • 상대가 느끼는 생각과 감정

    • 말을 많이 하면 난 들을 수가 없어요.

    • 난 귀머거리야.

    • 난 쓸모 없는 사람이야.

    • 빨리 도망치고 싶어.

    • 지겨워, 지겨워, 지겨워.


6. 경고


  • 표현

    • 조심해. 불에 데겠다.

    • 주의해. 차에 치일라.

    • 거기 올라가지마! 떨어질 수 있어.

    • 스웨터 안 입으면 감기 걸린다.

  • 상대가 느끼는 생각과 감정

    • 이 세상은 너무 무섭고 위험해.

    • 어떻게 나 혼자서 할 수 있을까?

    • 난 뭘 해도 말썽이야.


7. 고통과 헌신을 나타내는 말


  • 표현

    • 너희들 그만 좀 소리 질러! 내가 아팠으면 좋겠니? 심장마비라도 걸렸으면 좋겠어?

    • 네가 결혼해서 아이가 생기면 이해할 거다. 아이들 때문에 얼마나 화가 나는지.

    • 이 흰머리 안 보이니? 다 너 때문이야. 너 때문에 내가 십 년은 더 늙은 것 같아.

  • 상대가 느끼는 생각과 감정

    • 내가 잘못했어.

    • 겁이 나. 엄마가 아픈 건 내 탓이야.


8. 비교


  • 표현

    • 왜 형처럼 하지 못하니? 형은 항상 미리미리 숙제하잖아.

    • 영희는 식사할 때 예의가 참 바르더라. 넌 정말 영희를 못 따라갈 거다.

    • 너도 진수처럼 옷 좀 잘 입을 수 없니? 그 앤 항상 깔끔하잖아. 머리도 가지런히 빗어 넘기고, 셔츠도 바지 속에 넣어 입고…. 난 진수만 보면 기분이 좋다니까.

  • 상대가 느끼는 생각과 감정

    • 엄마는 나보다 형을 더 좋아하지.

    • 난 영희가 싫어.

    • 난 실패한 것 같아.


9. 빈정거리기


  • 표현

    • 내일 시험인데 학교에 책을 두고 오다니. 참 똑똑하구나. 정말 잘 했어.

    • 얘 입은 옷 좀 봐. 물방울 무늬에 체크라니! 참 오늘 칭찬 많이 받겠다.

    • 이게 내일 학교 가져갈 숙제니? 글씨가 마치 외국어 같구나. 선생님께서는 외국어를 읽으실 수 있나 보지? 난 읽을 수 없는데.

  • 상대가 느끼는 생각과 감정

    • 놀림 받는 것 같아.

    • 엄마는 나빠.

    • 창피하고 당황스러워요.

    • 엄마에게 복수할 거야.

    • 난 무엇 하나 잘 하는 게 없어.

    • 분해서 속이 끓어.


10. 예언


  • 표현

    • 너 성적표 가지고 엄마한테 거짓말했지? 커서 뭐가 될지 안 봐도 뻔하다. 아무도 널 믿지 않을 거야.

    • 그렇게 계속 네 멋대로 하렴. 아무도 너랑 안 놀 테니까. 아마 넌 친구도 하나 없을 거다.

    • 넌 불평밖에 안 하지. 한 번도 스스로 하려고는 안 하고, 네 장래가 훤하다. 항상 똑같은 문제에 매달려서 불평만 하겠지.

  • 상대가 느끼는 생각과 감정

    • 엄마가 맞아. 난 아무것도 될 수 없을 거야.

    • 아빠가 틀린다는 것을 보여 줘야지.

    • 아무 소용 없어.

    • 포기했어.

    • 난 잘못 태어난 거야.





분노 감정 표현하는 효율적인 예



1. 본 대로 이야기하기


  • 효과

    • 본 대로 혹은 문제점에 대해 자녀에게 이야기하기.

    • 수치심과 비난을 피하고 모든 사람이 어떤 일을 해야 할지 알 수 있다.

    • 이 기술은 부모가 어느 정도 화가 났을 때 사용하는 것이 좋다.

  • 표현

    • 우유가 쏟아졌구나. 행주가 필요해.

    • 화장실에 불이 켜져 있구나.

    • 잠옷이 찢어졌구나. 바늘과 실이 필요해.

  • 참고

    • 너라는 말은 아이에게 비난 당하는 것처럼 느끼게 해서 방어적으로 만든다.


2. 정보 제공하기


  • 효과

    • 자녀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 아이에게 신뢰한다는 마음을 전할 수 있다. '어른들은 우리가 정보를 알기만 하면 책임감 있게 행동한다고 믿고 있어.'라고 생각한다.

    • 정보 제공하기 뒤에 '하지만 그렇게 못 하겠지?'와 같은 모욕을 주기 쉽다.

  • 표현

    • 우유를 냉장고에 넣지 않으면 상하겠구나.

    • 사과 껍질은 쓰레기통에 버려야지.

    • 벽에는 낙서하는 게 아냐. 종이에다 쓰는 거야.

    • 식탁에 숟가락을 놓아 주면 좋겠다. 서로 도우면 훨씬 쉬워진단다.

  • 참고

    • 그러나 아이가 이미 알고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효과가 없다. 아이는 자신을 바보라고 생각하거나 빈정거린다고 생각할 것이다.


3. 한마디로 말하기


  • 효과

    • 강압적인 명령을 하지 않고 자녀가 자신의 뜻대로 솔선해서 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준다.

    • 부모에게 시간을 절약해 주고, 아이들은 지루한 설교에서 해방된 느낌을 준다.

  • 표현

    • 애들아, 엄마가 잠옷 입으라고 몇 번이나 말했는데, 너희들 아직도 장난치고 있네 TV 보기 전에 잠옷 입는다고 해 놓고서 왜 아무도 안 입었니? -> 잠옷!

    • 이것 봐, 또 준비물 놓고 가네. 어떻게 된 애가 말을 안 하면 챙겨 갈 생각을 안 하는 지 몰라. 만약 머리가 너한테 안 붙어 있으면 그것도 잊고 다닐 거니? -> 준비물!

  • 참고

    • 아이의 이름을 함께 부르지 말자. 말할 때마다 “ㅇㅇ야.” 하고 이름을 부르면 아이는 잘못한 것과 자기 이름을 연관 지어 함께 떠올린다.


4. 화난 상황에서 잠시 떠나기


  • 효과

    • 부모 자녀 모두에게 해를 입히는 감정 폭발을 막는다.

    • 잠시 떠나 있음으로써 나중에 후회하지 않고 분노를 표시할 기회를 갖는다.

  • 표현

    • 화장실에서 혼자 울기. 한숨 쉬기

    • 차 안에서 소리치고 욕하기.

    • 베개 때리기, 화난 심정을 글로 쓰기. 등등.

    • 화가 가라앉은 후 다시 아이를 대했을 때 하고자 하는 말을 미리 연습하기.

  • 참고

    • 부모들은 아이를 통제할 수 없다는 무능력에서 오는 무력감과 아이들의 잘못된 행동으로 자신의 체면이 손상된다고 믿을 때 더욱 화를 낸다. 부모는 아이를 통제해야 된다는 착각을 버리자.

    • 화가 난 상황이 공공장소이거나 위험한 장소인 경우 아이를 혼자 남겨 두는 것은 피해야 한다.


5. 당신의 감정을 이야기하자


  • 효과

    • 부모가 생각하는 만큼 아이는 약하지 않으며, 부모의 말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 표현

    • 내 소매를 잡아 당기는 게 싫어.

    • 방충망이 열려 있으면 싫어. 부엌에 파리가 들어오니까.

    • 내 말이 아직 끝나지 않았는데 방해를 받으면 무척 속상하단다.

    • 네가 시키는 대로 다 해야만 한다는 게 싫구나. “아빠, 갈 준비가 다 되었는데요. 데려다 주세요.” 라고 말하는 것이 듣기 좋구나.

  • 참고

    • 부모가 아이에게 “그 일 때문에 화가 나.”라고 할 때 아이는 “그래서요. 내가 알게 뭐에요?”라고 대답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아이들은 자신의 감정이 존중되면 부모의 감정도 존중한다.

    • 부모의 비난에 민감한 아이가 “나도 엄마 때문에 화가 나!”라고 도전적으로 대답할 경우는 부모의 기대를 이야기하는 것이 가장 좋다.


6. 메모 남기기


  • 효과

    • 부모-자녀 관계에서 얼굴을 붉히거나 큰 소리를 내야 할 상황에서 활용하기 좋은 방법.

  • 표현

    • 강아지를 괴롭히는 경우 -> 사랑하는 병준이 형. 아침 이후로 쉬지를 못 했어요. 쉬게 해 주세요. – 멍멍이 올림.

    • 사랑하는 아들아! TV를 켜기 전에 생각해 보자! 숙제는 했나? 피아노 연습은 했나? 엄마가 미리 고맙다고 할게. – 사랑하는 엄마가.

    • 엄마가 폭발하기 직전이다. 지치고 화가 나서 폭발할 것 같구나! 손님들이 곧 오신다. 급히 도움이 필요하단다.

    • 식사 전에 냉장고에서 간식을 꺼내 먹는 아이들 -> 부엌은 저녁 식사 때까지 닫는다.

  • 참고

    • 글을 읽지 못하는 아이들도 부모의 짧은 메모에 관심을 보이며 뭐라고 쓰여 있는지 알고 싶어 한다. 그럴 때 한 자 한 자 천천히 설명해 줄 수 있다.

 
 
 

댓글


ROII Therapy Center
 

T.  031-824-5400  F.  031-824-5401
  email. roiicen@gmail.com

월요일 -  금요일       10:00 am - 9:00 pm
토요일                      10:00 am - 6:00 pm
일요일/공휴일           Closed

11492 경기 양주시 고읍남로 24 레드프라자 2층 203-1호

© 2011 ROII Therapy Center.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