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0-3세 유아, 언어 자극 5가지 테크닉

  • 작성자 사진: ROII
    ROII
  • 7월 18일
  • 5분 분량
ree

0-5 살 까지 아이들의 뇌는 매우 급속도로 발달합니다. 이 시기의 뇌 발달은 변화 가능성이 많아 적절한 언어 자극은 탁월한 효과를 나타낼수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0-3 세 까지의 아이들의 언어 중재를 위해 기본적인 6 가지 테크닉을 소개합니다.




  1. 차례지키기 Turn-Taking


모든 대화는 차례지키기(차례대로 한번씩 번갈아 하는것) 을 내포 하고 있습니다. 아이들은 여러 상황 안에서 차례대로 해나가는 것을 배워 나가야만 합니다. 차례지키기는 아이들이 간단한 놀이에서 목표를 달성하는 것을 배우게 할 뿐만 아니라 타인의 관심 방향 과 시선을 알게 합니다. 부모의 역활은 아이가 좋아하는 놀이에서 아이와 차례로 번갈아가며 놀이를 하는 것 입니다.


차례지키기는 언어적인 것과 비언어적인 모든 것을 포함합니다. 이 차례지키기는 나와 타인이 주고 받는 것의 연속이며, 이것은 우리 대화의 기본 행태입니다. 또한, 주고 받는 타인과의 관계성의 기초가 됩니다. 아이와 함께 차례 지키기 기술을 통해 상호작용하는 동안, 아이는 언어가 필요한 사회적 관계 형성 방법을 배우며 동시에 연습을 하게 됩니다.


차례지키기 기술을 만들기 위해:

• 아이가 이끄는대로 따라 간다.

• 모든 놀이를 주고 받는 놀이로 이끌어 낸다.

• 과장된 표정으로 내 차례여서 기다린다는 얼굴을 보여준다.

• 이게 뭐야? 등의 아이에게 사물 이름을 단순히 질문하는 식의 언어 자극은 피한다.


차례지키기 활동을 할 때 기다려(waiting)와 언급하기(commenting)를 함께 해줍니다.

1. 기다려 : 차례를 번갈아 가며 아이는 부모를 부모는 아이의 순서를 기다려 줍니다. 장난감 차를 서로 밀어 주는 놀이와 블럭을 교대로 쌓기 놀이를 해 보세요.

2. 언급하기 : 아이와 부모가 함께 보거나 듣는 것에 대해 말해 보세다. 이 때 아이의 언어 수준에 맞춰 간단히 말 하세요. 장난감 차를 밀며, "밀어" 또는 "간다" 라고 한다 던지, 비눗방울을 차례로 불며 방울이이 터질때, "톡" 이라고 말해 보세요.



  1. 모방하기 Imitating


모방은 아이가 하는 행동이나 말을 반복 해 주는 것입니다. 모방은 아이에게 자신의 말과 행동을 부모가 주의 깊게 듣고 있다는 것 을 알려 주기도 합니다. 게다가 모방은 아이의 집중력 을 높여 주기도 합니다. 아이들은 남이 하는 것을 보고 직접 해보면서 배워 나갑니다. 아이의 행동과 말을 동시에 모방하는 것이 아니라 차례지키기와 함께 사용합니다.


효과적인 모방 사용하기


행동 맞추기 Match actions : 아이를 보고선 아이가 하는 것을 그대로 따라서 한다.

• 아이가 바닥에 누으면 그대로 부모도 바닥에 따라 눞는다

• 아이가 장난감 버스에 동물 인형을 태우면 부모도 그대로 따라서 한다.


단어와 소리 맞추기 Match sounds and words : 아이가의 말을 귀기울여 듣고 똑같이 따라 한다.

• 아이가 "야~~~" 라고 하며 비행기를 날리면, 부모도 똑같이 비행기를 날리며 "야~~~" 라고 반복한다. 이때 반드시 차례 지키기Turn-taking해야 하며 아이의 행동도 따라서 한다.

• 아이가 장난감 버스를 밀며, "버" 라고 말하면, 부모 차례에 똑같이 버스를 밀며, "버스" 라고 말한다.


과장하여 연기하기 Use animation : 아이와 놀이와 대화가 계속 연속 되기 위해서는 부드러운 미소, 제스쳐, 과장된 얼굴 표정 또한 수반되어야 한다. 부모의 차례에 과장된 표정과 억양으로 아이에게 내가 다음 네 차례를 기다린다는 암시하는 것을 잊어서는 안된다. 아이와 놀때는 치료사건 부모건 우린 모두 좀 우스꽝스럽고 재미있는 아이의 놀이 파트너여야만 한다는 걸 명심해야 한다.


아이와 놀때는:

• 아이와 얼굴을 마주한다

• 흥분되고 기분이 들뜬 상태를 보여준다

• 위의 모방하기를 늘 적용한다.


추천 놀이: 아이의 목욕 시간은 너무나도 좋은 치료 시간 입니다. 아이가 물장구를 치면, 엄마도 차례로 번갈아 하며, 물장구를 치고 "풍덩" 이라며 재미있게 말 해 보세요. 이때 아이도 당신의 행동과 말을 모방하며 놀이를 연속하게 됩니다.




  1. 연결하기 Building


연결은 앞서 말한 차례 지키기를 하는 동안 아이의 말과 행동을 확장시켜 나가는 것입니다. 연결은 아이가 한 행동이나 말에 어른이 더 붙여나가는 테크닉 입니다. 연결을 하는동안, 아이는 자신이 이미 알고 있는 것들을 자연스런 환경 안에서 확장해 나갑니다. 연결을 또다른 모방하기라고 생각해도 좋습니다. 예를들어, 아이가 부모에게 공을 던지면, 부모가 공을 아이에게 다시 던지며 "공" 이라고 말해줍니다. 연결을 할때에 아이의 현재 사용 언어보다 딱 한 단계 위의 언어를 사용해니다. 예를 들어, 아이가 한 단어만 말한다면, 부모는 한단어를 더해 두단어를 말해주면 되겠지요!!! 아이와 놀며 이야기 하는 동안, 차례 지키기를 하면서, 모방하기와 연결하기를 적용해 보셔요.


효과적인 연결하기 사용하기


• 행동 덧붙이기 Add an action: 아이가 하는 행동을 유심히 보고, 따라하고, 행동 하나를 더해 보셔요. 아이가 인형에게 밥주는 흉내를 내면, 부모는 밥을 준 뒤 잠을 재우는 흉내를 냅니다.

• 소리 덧붙이기 Add a sound: 아이가 하는 행동을 보고, 따라하고, 그 행동에 맞는 소리를 냅니다. 아이가 먹는 흉내를 하면, 따라하며 "얌얌" 하며 소리를 내줍니다.

• 단어 덧붙이기 Add a word: 아이가 하는 소리를 잘 듣고, 따라하고, 새 단어를 말해줍니다. 아이가 공을 부모에게 던지면, 부모는 공을 아이에게 다시 던지며, "던져" 라고 말해 줍니다.


비언어적 관계 형성 Nonverbal connecting


아이와 놀이를 하는 동안 비언어적인 방법으로 아이와 대화를 더욱 강화 시킬 수 있습니다. 비언어적 관계 형성이란 눈, 얼굴, 몸을 이용해서 아이와의 사이에 대화 파트너의 역활을 강화시키는 테크닉입니다. 이 기술은 아이 자신의 행동에 부모가 관심이 있다는 것을 아이에게 알려주는 가장 좋은 조건을 만들어 줍니다. 비언어적 관계 형성이 사용되는 동안, 아이는 부모에게 집중적인 관심을 갖게 되며, 반응성이 높아집니다.


언어를 사용하지 않고 관계를 형성 하는 법 Ways to establish Nonverbal connecting

• 아이와 실제로 눈 높이가 비슷하도록 자세를 낮춘다

• 아이에게 가깝게 간다

• 부모의 목소리와 표정으로 관심을 표현한다.

• 아이가 혼자 놀고 있다면, 앞에 말한 3 가지 테크닉과 비언어적 관계 형성하기를 사용하며 아이의 놀이에 참여한다.

• 예를들어, 부모가 아이의 이를 닦아줄때, 거울을 보며 아이의 표정을 우스꽝스럽게 과장하여 흉내낸다. 그리고, 아이의 반응을 본다.



  1. 가장하기 Pretending


가장하기란 어떤 것을 다른 것인 양 하는 것 입니다. 예를들어, 아이와 시장 놀이를 하거나, 공을 사과라고 하며 장난감 강아지에게 먹일 수 있습니다. 어떤 것을 다른 어떤것으로 나타내는 것을 상징이라고 합니다. 가장하기와 언어는 공통적으로 기호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언어에는 낱말이 즉, 기호이기 때문입니다. 아이가 가장하기 놀이를 한다는 것은 아이가 가상적인 놀이와 언어를 이해한다는 의미입니다. 이와 비슷한 이치로, 낱말 하나가 실제의 물건이나 행동, 또는 생각을 대체한다는 사실을 아이가 이해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아이의 놀이 능력 과 언어 능력은 함께 발달합니다. 가장하기 놀이 동안, 아이의 가장하기를 모방하고, 거기에 새로운 가장하기 행동을 더해줍니다.


아이가 부모를 모방하기 시작했다면 가장하기를 시도해 볼 적절한 시간입니다. 아직 아이가 보무롤 모방하는 단계가 아니라면, 가장하기를 조금씩 다른 테크닉들(차례지키기, 모방하기, 연결하기, 비언어적 관계형성)과 함께 가르쳐 보십시요. 아이의 전반적인 발달을 도와줄 것입니다.


• 블럭 하나를 집어 먹는 척을 해보세요. 아이가 따라하도록 해보세요.

• 두 가지 가장하기 행동을 연결해 보세요. 인형을 바구니에 넣어 목욕 시키는 척 하다가, 공을 비누인양 문지르는 척 해보세요.



  1. 집중하기 Focusing


집중하기란 아이의 새로운 학습을 강화시키기 위해 같은 행동이나 말을 일관성 있게 여러번 반복하는 것 입니다. 집중하기 테크닉을 사용하기전, 아이와 규칙적이고 반복적인 일련의 활동을 먼저 만들어 놔야합니다. 규칙적이고 반복적인 일련의 활동(routines)은 동일한 말과 행동의 반복도 포함됩니다.


이 routines은 아이의 대화를 발달시키기에 너무나 중요한 것 입니다. 아이가 같은 놀이를 계속 해서 반복해서 하는 것을 눈여겨 보십시요. 이것은 언어 발달에 너무나도 중요한 것 입니다. 밥 먹고 옷 입고 제일 좋아하는 장난감을 가지고 놀고 하는 일상의 활동 (routines)이 아이의 언어 발달을 강화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 부모가 일상의 활동을 매일 반복해서 할 수 있도록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은 아이가 무엇을 하고 무엇을 말해야 하는 지를 알게해 줍니다. 아이가 무엇을 할지를 예상 할 수 있을 때, 아이는 더욱 더 자신있고 안정감 있는 상태가 됩니다.


Routines (일상의 활동)은 아이가 배울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아이가 말을 쉽게 배울수 있는 현장을 만들어 줍니다. 부모가 아이에게 일상을 만들어 주면서 아이의 행동을 따라 해주는 것은 중요한 일 입니다. 반복은 지겨운 것 이 아니라 아이가 더 배울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집중하기를 개발하기


• 반복을 허용하기 Allow repetition : 아이가 이끄는 대로 따라 하되 같은 놀이를 같은 방법으로 반복해서 한다.

• 말과 행동을 일관성 있게 하기 Be consistent in actions and words : 아이는 실제 말을 하기까지 그 말을 여러번 들어야 한다. 아이가 중요한 말을 여러번 들을수 있도록 한다. 부모의 반복적인 말 사용은 아이의 언어 발달에 중요한 역활을 한다.

• 선택적 사용하기 Be selective : 부모가 말을 할 때 한 단어 또는 두 단어를 놀이와 연결해서 선택 하되, 아이에게 무리해서 한꺼번에 모든 것을 가르치려 하지 말아야 한다.

 
 
 

댓글


ROII Therapy Center
 

T.  031-824-5400  F.  031-824-5401
  email. roiicen@gmail.com

월요일 -  금요일       10:00 am - 9:00 pm
토요일                      10:00 am - 6:00 pm
일요일/공휴일           Closed

11492 경기 양주시 고읍남로 24 레드프라자 2층 203-1호

© 2011 ROII Therapy Center. 

bottom of page